몸에 해악이 없는 우리 곁의 적외선
"그놈이 똬리를 틀고 있다가 휙 달려드는데, 조금만 늦게 손을 뺏어도 물렸을 거야." 시골 노인 송씨는 지난해 봄 마늘밭을 손보다가 살모사에 물릴 뻔한 일을 떠올리면 지금도 섬뜩하다. 최근 들어 수은주가 치솟으며 들이나 산에서 뱀을 목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농사든 등산이든 야외 활동 때 맨손으로 수풀을 헤치거나 뒤적이는 건 금물이다. 뱀에 물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적외선을 활용해 눈에 보이지 않는 혈관까지 찾아주는 의료기기 아큐베인
어두침침한 곳에서도 뱀은 먹잇감의 존재를 기막히게 알아'보는' 능력이 있는데, 적외선을 감지하기 때문이다. 적외선은 '빨주노초파남보'의 가시광선 밖, 즉 파장을 기준으로 할 때 빨간색 바깥쪽에 위치해서 이런 이름으로 불린다. 첩보 영화 등을 보면 한밤중에도 야간 투시경을 이용해 상대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인체에서 나오는 열, 즉 적외선 파장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살모사가 한밤중에 작은 곤충들의 존재를 알아보는 것 또한 눈과 코 사이에 있는 '천연 적외선 감지기' 덕분이다.
햇빛이 강렬해지는 시기가 되면 '자외선'에 대한 얘기가 자주 거론된다. 보라색, 즉 자색의 바깥쪽에 위치해 자외선이라 불리는 이 전자기파는 적외선과 달리 강력한 에너지를 갖고 있다. 인위적으로 자외선을 만들어 살균 등을 할 수도 있지만, 햇빛에서 쏟아지는 자외선에 과다하게 노출되면 피부암 등 위해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적외선은 자외선과 달리 여간해서는 인체에 해악이 없다. 오히려 몸에 좋을 수도 있다. 과거 아궁이에 불을 때던 시절 여성들에게 하복부 질환이 적었던 것은 아궁이 불에서 나오는 적외선 덕을 봤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또 야외에서 따뜻하게 데워진 바위 같은 데에 몸을 대고 있노라면 편안한 느낌이 드는데, 이 역시 적외선 특유의 치유 효과라 할 수 있다.
몸에 이로운 적외선이라도 눈으로 볼 수 없는 탓에 그 존재를 실감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적외선 관측'은 더 이상 과학자나 군인 같은 이들의 전유물은 아니다. 일상에서 가장 흔한 적외선 활용 사례 가운데 하나는 TV 리모컨이다.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면 TV 본체에 달린 센서를 향해 전자기파가 발사되는데, 이 전자기파가 바로 적외선이다.
물론 리모컨에서 나오는 적외선 또한 육안으로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있다면 일반인도 손쉽게 적외선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영상 모드로 바꾸고 리모컨 전면의 적외선 방출구를 향하게 한 뒤 리모컨 버튼을 누르면 모니터에 적외선이 '보인다'. 우리 눈과 달리 스마트폰 카메라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까닭이다. 리모컨 건전지가 닳았는지 여부도 이런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또 다른 적외선 활용의 예는 현관 센서등이다. 적외선 센서가 문을 열고 들어오는 사람의 몸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인식해 불이 켜지는 것이다. 여름이 되면 현관 센서등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센서등 주변 온도가 체온과 비슷해 사람이 들어와도 온도 차이를 감지하지 못해서인 경우가 많다. 눈에는 안 보이지만, 항상 우리 곁에 존재하는 게 바로 적외선이다. 출처 위클리공감
'쉬어가는 샘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8%가 또는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0) | 2016.06.09 |
---|---|
시스템의 중요성 (0) | 2016.06.09 |
성공하는 리더를 위한 유머기법 7가지 (0) | 2016.06.08 |
성공하는 사람과 실패하는 사람은 먹는 라면이 다르다 (0) | 2016.06.08 |
유머를 갖기 위한 8가지 방법 (0) | 2016.06.08 |